×
출장안마 서비스 바나나 출장마사지 출장마사지 출장안마
easyABA easyABA

EasyABA

[지니쌤이야기]ABA-사회적으로 의미있는 행동-2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해든미래
댓글 0건 조회 168회 작성일 20-12-09 22:57

본문

지니쌤입니다.

이 글에서는 목표행동의 사회적 중요성을 판단하는 기준들에 대하여 살펴보려고 합니다.

Hawkins(1984)는 목표행동의 의미는 적응(habilitation)의 맥락 안에서 판단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는데, 그가 내린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.

"Habilitation(적응: adjustment)은 어떤 사람이 지닌 레퍼토리(repertoire: 행동목록)가 자신과 타인의 장기적, 단기적 강화제를 최대화시키고 장기적, 단기적 벌을 최소화시키는 정도를 말한다."

말이 좀 어렵나요? ^^;  그럼 여기서 이해를 돕기 위해, 보통 '재활'의 의미로 쓰이는 Rehabilitation과 비교하여 이야기해 보겠습니다.

'Rehabilitation'은 원래 가지고 있던 기능을 상실했을 때 이를 다시 증가시켜 기능을 회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 'Habilitation'은 기능이 선천적으로 부족할 경우 이를 형성하기 위한 훈련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.

(잠재적) 목표행동이 적응(habilitation)의 기준을 충족한다면, 그 행동의 변화를 통해 미래에 추가로 강화를 획득하고 벌을 피할 수 있게 됩니다. 따라서 목표행동은 그 행동 변화의 대상자에게 직접적, 간접적으로 유익해야 하며, 행동의 변화가 중재 대상자의 삶의 질을 어느 정도 높일 수 있는가를 염두에 두고 선정되어야 합니다.

그럼 목표행동의 사회적 중요성을 평가하는 기준들 중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몇 가지 기준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

1. 중재가 끝난 후에 대상자의 자연적 환경에서 이 행동이 강화를 받을 가능성이 있는가?

  - 행동변화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에 그 행동이 강화받을 수 있어야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, 대상자에게 장기적인 이익을 가져다 줄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 의사소통과 사회적 기술에 결함이 있는 발달장애 학생에게 고등수학 교과서 내용을 가르치는 것보다는, 현재에 보다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  마트에서 물건을 구입하는 기술을 가르치는 것이 우선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.

2. 이 행동이 유용한 기능을 위한 사전 기술인가?

  - 그 자체로는 중요하지 않지만 다른 기능적 행동의 학습에 필요조건이 되기 때문에 목표행동이 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 읽기 기술을 습득하는 것은 당사자에게 매우 유용한 기능이지만, 이를 위해서는 음소를 인식하는 기술이 꼭 필요하게 됩니다(예: '과자'의 첫소리는 무엇인가? /  '사랑', '사진', '가방' 중 어떤 단어가 다른 소리로 시작되는가? - 음소 인식에 대한 질문).

3. 이 행동이 다른 중요한 행동을 배우거나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증대시킬 것인가?

  - 중재 대상자에게 간접적인 이익을 주는 접근행동(Access Behavior)을 목표로 삼을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 특수교육을 받는 학생의 경우 교사의 지시에 따르고 교실에서 바르게 착석하는 행동이 통합학급에서 반드시 필요하므로, 이 행동의 습득은 통합교육에의 접근을 증가시킬 것이라 기대할 수 있습니다.

4. 나이에 적합한 행동인가?

  - 언어와 놀이기술 수준이 낮은 18세의 발달장애 청소년에게 블록쌓기를 가르치는 것보다 취미활동과 스포츠 등 여가를 즐길 수 있는 기술을 가르치는 것이 바람직할 것입니다. 이러한 기술을 바탕으로 또래집단과 더욱 전형적인 방식으로 상호작용할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.

5. 목표행동이 제거되거나 감소된다면 어떤 적응적 행동으로 대체할 것인가?

  - 어떤 행동을 감소하거나 제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적응적인 대체행동을 결정한 후 중재에 들어가야 합니다. 아동의 부적응행동이 타인에게 피해를 줄지라도, 그 행동이 아동에게 어떤 기능을 하고 있으므로 함부로 제거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.

위에서 살펴 본 몇 가지 목표행동 선정 기준은, 결국 그 행동이 사회적으로 얼마나 중요한가를 평가하는 것입니다. 아동이 이 사회에 얼마나 성공적으로 통합되어 살아갈 수 있느냐가 중재의 궁극적 목표라고 본다면, 어떤 행동을 먼저 변화시킬지에 대한 결정은 중재의 가장 중요한 첫 단계라고 볼 수 있습니다.

(참고문헌: J. Cooper 등, '응용행동분석(상)', 정경미 등 공역, 시그마프레스, 2010)